[ 테라리아 ] 초반 기초와 흐름에 관한 정리
[ 테라리아 ] - Terraria
초반 기초와 흐름에 관한 정리
이 글은 튜토리얼이 없는 테라리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이미 초보를 탈출하신 분들은 다른 글을 참고하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어디까지나 초반에 필요한 정보를 정리한 것이므로 게임을 막 시작하시는 분들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조금 틀린 부분이 있을수도 있으므로, 틀린 부분이 발견되면 그 부분을 지적해 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캐릭터 생성
테라리아에서는 개인 캐릭터를 생성해서 여러 월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가지고 있던 장비나 아이템을 가지고 다른 월드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캐릭터는 월드에 참가하기 전에 무조건 생성해야 합니다.
캐릭터를 작성시 [ 성별, 헤어스타일, 눈, 이름, 등 ] 여러 요소를 수정할 수 있으며, 색상도 RGB 표에 따라 원하는 색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캐릭터를 생성할 때 난이도도 설정할 수 있으며, 월드를 생성할 때 미리 정한 난이도로 들어가게 됩니다.
초보는 클래식만해도 상당히 어려우므로, 적응을 할 수 있는 저니 난이도를 추천합니다. 다만, 클래식 난이도에 비해 너무 쉬워서 재미가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월드 생성
이름 : 월드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시드 : 월드의 시드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크기 : 월드는 기본 대형을 추천합니다.
난이도 : 월드 난이도를 변경합니다.
형태 : 커럽션하고 크림슨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각 오염 형태와 보스가 다릅니다.
기본적인 설정이 끝났다면 월드 생성을 시작합니다. 생성 시간은 다소 시간이 걸리며, 한번 생성이 되면 월드에 들어갈 때 빠르게 들어갈 수 있습니다. 월드에는 오염도라는 것이 존재하며 오염도가 높아지면 상당히 귀찮아지므로 관리를 잘하시기 바랍니다.
[ 오염도를 줄일 수 있는 아이템이 게임내에 존재함 ]
월드에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접속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가 가능합니다. 모드를 선택하면 더 많은 인원을 넣을 수 있습니다. 당연히 서버를 운영하는 플레이어의 PC의 부담이 커집니다.
알아본 바로는
스팀 : 8명
서버 : 16명
멀티 모드 : 255명
멀티 모드 : 2565명
라고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기본 흐름 [ 해야 할 것 ]
월드에 접속하면 기본적인 장비가 지급됩니다.
체력 5칸, 마나 1칸이라는 스탯과 구리 3세트가 지급됩니다.
기본적으로 땅을 팔 때는 곡괭이를 사용하며, 나무를 벨 때는 도끼를 사용합니다.
무기로 사용할 때는 3개의 장비를 다 사용할 수 있으나 대미지로 따지면 검이 가장 좋습니다.
어디까지나 초반에 사용하는 도구이고, 티어가 올라가면서 도끼와 곡괭이가 통합됩니다.
물론 거기까지 가는 여정이 상당히 힘듭니다.
초반에는 무조건 나무가 필요합니다. 나무부터 얻고 나서 생각해야 합니다.
나무를 얻었다면, ESC키를 눌러서 인벤토리를 열면 좌측 하단에 제작할 수 있는 레시피가 나옵니다.
당연하게도 가지고 있는 소재에 대한 레시피만 등장하므로, 기타 레시피는 찾아보시거나 레시피를 보여주는 모드를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 것이 게임에서 상당히 불친절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 제작대 ]를 이용해서 장비나 장식을 만들 수 있고, 티어가 올라가면서 용광로 같은 특수한 시설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만들 수 없는 시설이나 직접 장소로 가야 하는 시설도 있습니다. 그건 어느 정도 적응이 된 후에 생각하셔도 됩니다.
3. 몬스터
이 게임은 기본 RPG입니다. 생존 게임이기도 하지만 RPG요소가 상당히 강하므로, 몬스터 또한 자주 등장하게 됩니다.
게임을 막 시작하면 슬라임이 끝도 없이 오는데, 귀찮을 수도 있겠으나 얘네들이 주는 [ 젤 ]이라는 아이템이 횃불을 만드는 주요 소재를 드롭합니다.
즉, 이 게임에서 몬스터의 중요도가 상당히 높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몬스터에 따라 만들 수 있는 소재도 다르고, 몬스터가 등장하는 바이옴도 나누어져 있어서 다양한 몬스터를 만나며 울고 웃으며 플레이하시게 되실 것입니다.
4. 지하
장비의 티어를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하로 들어가야 합니다. 상당히 위험하지만 신중하게 이동하면서 주위를 살피면 죽을 일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깊이가 깊어질수록 바이옴이 바뀌면서 강력한 몬스터가 등장하게 되는데, 초반 장비를 절대로 이길 수 없는 몬스터가 나오므로, 지하를 탐색하기보다는 [ 광석 ]을 찾으러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깊이에 따라서 나오는 광석이 달라지고, 그 광성을 캘 수 있는 장비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여러 광석을 찾기보다는, 현재 장비로 캘 수 있는 광석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광석을 찾으면, 광석을 괴로 만드는 가공 작업을 거쳐야 장비를 제작할 수 있게 됩니다.
초반에는 무조건 철입니다. 철부터 많이 찾으세요!
5. 보스전
RPG에서 보스가 빠지면 말이 안 되겠죠? 보스는 조건을 만족하거나 소환 아이템을 사용하면 등장하게 됩니다. 가장 껄끄러운 것은 아무것도 모르는데 보스가 튀어나오는 경우인데... 이건 그냥 죽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무것도 준비가 안되었는데 튀어나오는 경우라서 대부분 죽게 됩니다.
보스는 무조건 거쳐야 하는 콘텐츠입니다.
광석으로 만들 수 있는 장비의 최고티어를 만들게 되면, 다음으로 보스가 드롭하는 광물로 티어를 높여야 합니다.
당연히 보스를 잡기 위해서는 소환아이템이나 조건을 맞춰야 하고,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기서 멘탈이 나가서 접게 됩니다.
1차 보스 [ 지옥 ]을 클리어하게 되면 하드난이도로 넘어가게 되는데, 여기서 등장하는 3마리의 기계보스가 넘사벽이라 많이들 포기하십니다. 이 벽을 넘게 되면 어느 정도 실력이 갖춰지게 됩니다.
필요한 것은 [ 전장, 회피 컨트롤, 장비, 센스 ]가 필요합니다.
기본적인 요소에서 집을 건축하는 것은 일부러 넣지 않았습니다.
초반에 하시는 분들이 건축에 정성을 쏟는 것은 드물기 때문입니다.
멘탈이 나가는 요소가 상당히 많은데, 여러분들의 센스를 발휘해서 마지막 최종 보스까지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